공부(4)
-
Kotlin 기초(변수, 자료형, 형변환, 배열, 함수, 조건문, 연산자, 반복문)
클래스 이름은 파스칼 표기법, 함수나 변수 이름은 카멜 표기법변수var :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변수, 언제든지 읽기 쓰기가 가능함val : 선언시에만 초기화 가능. 중간에 값 변경 불가변수에 null을 허용하지 않음(null point exception 차단)// 기본 변수 선언fun main() { var a: Int = 123 println(a)}// null 허용 가능한 변수 선언fun main() { var a: Int? = null a = 123 println(a)}자료형var a: Int = 123var b: Double = 12.5var c: Boolean = truevar d = "string"형변환fun main() { var a: Int = 15616 ..
2024.11.07 -
HTML, CSS, JS만 사용해서 Mbti 테스트 만들기 - ChatGPT, Claude, netlify, 카카오 애드핏
평소에 mbti 테스트를 좋아해서 한번쯤 만들어 보고 싶었는데 마침 유튜브 알고리즘에서 다음 영상 두개를 보여줬다.https://youtu.be/ai5YcT8Ws80?si=FBIKdL4XG64GEWFDhttps://youtu.be/Ftu-27ikvgI?si=mzlFEahIfIHYNykT MBTI 테스트는 주로 HTML, CSS, JS만 사용해서 만들었고, 나는 화면쪽 코드는 안해본지 오래여서 AI의 도움을 받아서 만들었다. 첫번째 영상에서는 AI로 기획,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는 방법을 알려줬는데 나는 사실 MBTI 테스트를 많이 해봐서 기획은 필요 없었고 주제만 정했다. 평소 동물의 숲 게임을 좋아했어서 동물의 숲 주민을 추천해주는 MBTI 테스트를 만들기로 정했고, 정한 주제로 가져가야 하는 분위기와..
2024.09.26 -
내가 자주 사용하는 k8s 명령어
전체 pod 목록 조회kubectl get pod -A namespace로 조회kubectl get pod -n namespace명 실행 명령어(파일 전체)kubectl apply -f . 실행 명령어(deploy 파일만)kubectl apply -f deploy.yaml 삭제 명령어kubectl delete -f . 실행중인 pod에 접속kubectl exec -it 서비스명 -- /bin/bash namespace 생성kubectl create namespace namespace명
2024.08.28 -
동기(Sync), 비동기(Async), Blocking, Non Blocking 차이
동기 & 비동기: 처리해야 하는 작업들을 어떤 '흐름'으로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관점 동기: A 함수가 B 함수를 호출할 때, B 함수의 결과를 A 함수가 처리하는 것. B의 작업 완료 후 리턴을 기다리거나, 바로 리턴을 받더라도 미완료 상태라면 작업 완료 여부를 계속 확인하면서 신경 쓰는 것. 비동기: A 함수가 B 함수를 호출할 때, B 함수의 결과를 B 함수가 처리하는 것. A가 B를 호출할 때 콜백(callback) 함수를 함께 전달해서, B 함수의 작업이 완료되면 함께 보낸 콜백함수를 실행한다. A는 B의 완료 여부를 신경 쓰지 않는다. Blocking & Non Blocking: 처리해야 하는 작업의 전체적인 흐름을 막느냐 안 막느냐에 대한 관점, 제어권이 누구에게 있는지Blocking: ..
2024.08.20